|

|
문화 트렌드 2022
저자 : 신형덕, 박지현
출판사 : 북코리아
출판년도 : 2021년 11월
|
문화 트렌드 2022
저자 : 신형덕, 박지현 / 출판사 : 북코리아
|
신형덕, 박지현 지음 북코리아 / 2021년 11월 / 204쪽 / 15,000원
▣ 저자 신형덕, 박지현 신형덕 - 홍익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서울대학교에서 경영학 학사와 석사, 오하이오주립대학교에서 경영학 박사 학위를 받고 한국문화예술경영학회장을 역임했다. 경영학의 시각으로 문화 트렌드를 분석하는 연구에 힘쓰고 있다.
박지현 - 서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홍익대학교에서 문화예술경영학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동 대학원 박사과정에 재학 중이다. 삼성전자와 국립현대미술관 마케터 재직 경험을 바탕으로 현장감 넘치는 문화 트렌드를 연구 중이다.
▣ Short Summary K-CULTURE의 시대, 문화를 알아야 세상이 보인다. 그런데 문화 트렌드를 파악하는 것은 마치 여러 지류를 가진 큰 강의 본류를 조망하는 것과 같다. 본류를 파악하면 왜 다양한 지류의 흐름이 만들어지는지 이해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 어떠한 지류가 만들어지는지 예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책은 2022년을 관통할 12가지의 문화 트렌드를 예측한다. 저자들은 아트테크, 보복소비, 구독경제, 디지털 캐릭터, 숏폼 콘텐츠, 트랜스 미디어와 세계관, 이방인의 탄생, 예능과 금기, 프로와 아마추어, 대리만족의 미학, 솔직함과 진정성, 사적 응징 등 2022년을 관통할 것으로 예상되는 12개 트렌드 각각을 ‘What do we see’, ‘Why is it’, ‘Where is it going’으로 구분하여 소개한다.
‘What do we see’에서는 2021년에 부상했던 파편적인 문화 현상이 형성하는 트렌드를 짚어내어 큰 흐름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Why is it’에서는 표면에 나타나는 트렌드 기저에 존재하는 보다 근본적인 원인에 대해 심층적으로 분석한다. 다음 ‘Where is it going’에서는 2021년에 부상했던 트렌드가 2022년의 사회·경제·정치적 현상에 미칠 영향에 대해 예측한다.
덧붙이면, 경제적 현상과 관련된 문화 트렌드인 아트테크, 보복소비, 구독경제의 문화적 의미에 대해 소개하고, 문화산업 중 특히 콘텐츠 시장과 관련된 트렌드로서 디지털 캐릭터, 숏폼 콘텐츠, 트렌드 미디어에 대해 설명한다. 그리고 문화 트렌드의 사회적 의미와 관련하여 사람들이 이방인을 대하는 태도, 금기를 넘나드는 예능, 프로와 아마추어의 불분명한 경계에 대해 살펴보고, 문화 트렌드로 표출되는 대중의 잠재의식을 살펴보기 위해 대리만족, 솔직함과 진정성, 그리고 사적 응징에 대해 논한다.
▣ 차례 서문 2021년 문화 트렌드 회고
Ⅰ 경제 현상의 문화적 의미 1 아트테크 2 보복소비 3 구독경제
Ⅱ 콘텐츠 시장의 지각변동 4 디지털 캐릭터 5 숏폼 콘텐츠 6 트랜스 미디어와 세계관
Ⅲ 사회적 경계의 해체 7 이방인의 탄생 8 예능과 금기 9 프로와 아마추어
Ⅳ 내면적 감정의 표출 10 대리만족의 미학 11 솔직함과 진정성 12 사적 응징
참고문헌
|
|
|
|
|